중국 우주개발 속도가 개빠른 이유

주식
비회원 0 204 0 0

중국 우주개발 속도가 개빠른 이유

img.webp
미국 NASA - 32조 4000억 (2021년)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 4조 7500억 (2022년)
일본 JAXA - 4조 7000억 (2021년)
중국 CNSA - 8조 9000억 (추정)
프랑스 CNES - 2조 9000억 ~ 3조 4000억 (유럽 우주국 ESA 내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지출)
대한민국 KARI - 6150억 (2021년)
인도 ISRO - 약 2조 (2021년)
 
CNSA 하나만 봐도 8조 9000억이라는 거금을 들이고 있다는게 감이 옴
근데 우주개발을 CNSA만 하진 않음
 
img.webp
SASTIND (국가국방과기공업국) 는 CNSA의 상위 기관이지만,
동시에 CASC와 CASIC의 자산을 감독,관리까지 해주는 곳이기도 함
CASC와 CASIC는 우리나라의 KAI (Kf21 만드는 곳) 라고 보면 됨
물론 총자산이나 영업이익은 10배 이상 차이남
 
여기에 공산당 군사위원회 산하기관인 인민해방군 총장비부 (GAD) 가 CASC, CASIC의 사업 방향을 직접 정하고 관리감독함
우리나라로 치면 국방부+과기부가 KAI의 사업 목표를 직접 수립하는거
 
img.webp
거기다 이런 유인 우주 프로젝트는 CMSA라는 또 다른 기관이 전담하고 있음
이건 민간 프로젝트고, 국방 유인 우주 프로젝트는 GAD 산하 CMSE에서 전담함
 
그러니까 국가에서 운영하는 우주개발 기관이 CNSA 외에도 국유기업인 CASC, CASIC, 인민해방군 산하 CMSE, CASC와 CAST가 출자해 만든 기관 등 여러개가 존재하고 서로 얽혀있음
 
그리고 이들의 기술을 공유하며 중국 공산당 정부의 지원을 받는 민간 우주기업들도 딥블루 에어로스페이스, 랜드스페이스, 갤락틱 에너지, i스페이스,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얘네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쏜 로켓만 수십대.
이러니 속도가 느릴수가 없음
 
우리나라도 KARI, KAI,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를 주축으로 우주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자본이나 인력에서 너무 뒤쳐짐
 
img.webp
KARI는 직원 수 1000명 미만, KAI는 약 3500명
 
img.webp
한화는 약 3700명
앞서 말한 CASC는 직원수 17만명에 총자산 53조,
CASIC는 직원수 14만명에 총자산 44.2조
 

 

물론 중국 인구가 많다지만 항우연+KAI+한화 에어로스페이스 직원수가 1만명이 안된다는 건 그다지 좋은 소식이 아님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