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가 되가는 일본과 아직도 꿈에빠진 조선의 차이

해외반응 갤러리
G 비회원 0 45 0

준비가 되가는 일본과 아직도 꿈에빠진 조선의 차이

img.png
 
조선업계는 최근들어 7월 1일 갑자기 변경된 자동차 부품 및 철강에 대해 전혀 방어책이 없는 반면 일본은 이미 준비가 마무리중
 
일본 자동차업계의 큰 그림
 
구분 대응 포인트 근거·출처
업계 공동전선 ① JAMA(일본자동차공업협회)가 2월부터 METI·외무성과 ‘특별협의팀’ 구성 → 워싱턴에 대표단을 파견, 관세 재고 촉구② 日 정부도 교섭 채널 가동, 아카자와 통상교섭대표가 5월 하순 3차 협상차 방미 ,  

 

공장·공급망 재편 ITA가 7 월 1 일 개시하는 ‘관세 신청 창구’(Section 232 Inclusion)를 활용해 부과 제외(Exclusion) 신청 준비 → 부품 HS코드별 데이터 정비
가격·마진 전략 “1차로는 원가 절감·환헤지, 2차로는 부품 로컬화 가속 후 일부 車 가격 인상”을 기본 시나리오로 공유
 
 
 
업체별 세부 대응
 
기업 현 상황 & 행동 특징적 차별화
도요타 · 美 11개 공장 가동률 높여 ‘현지 부품 비중 70%→75%’ 목표.· 서플라이어와 관세 비용 분담 협의 개시, “단기적으로 차값은 동결” 입장 규모의 경제·현지 생산 비중이 가장 높아 충격 흡수 여력 ↑  
혼다 · 차세대 Civic 하이브리드 생산지를 멕시코→인디애나로 선회(연 21만 대) ‘생산지 스위치’가 확인된 최초의 일본 완성차 사례  
닛산 · 멕시코산 CVT·소형차 노출 높아 ‘타격 최대’ 분석.· 6개월 간 관세분 자사가 흡수 후, 美 테네시 CVT 증설·부품 재소싱 추진 가격 전가 여력 ↓, 단기 손익 방어에 집중  
스바루·마쓰다 볼륨은 작지만 수입 비중이 45~80%로 높아, 도요타와의 美 엔진·HEV 합작 투자(켄터키 신설) 참여 검토

 

주요 부품사(덴소 등) “패닉 대신 車메이커와 가격 재협상으로 대응” — 환율 효과·미국 법인 증설 병행
 
 
 
한국 업계와 다른 점 — 한눈 비교
 
 
미국 내 현지 생산 비중 혼다 65%, 도요타 49%, 닛산 40% 등 (수입 의존도 ↓)   현대·기아 35% (수입 의존도 65%)  
기업 대응 개별 모델 생산지 이동·공장 증설, 공급망 재설계,
‘가격 동결→점진 인상’ 2단계 전략 관세 대응 태스크포스 설치·멕시코 생산 일부 미국 이전(투싼)
정부 지원 외교交섭(관세 철회·품목 제외) 중심 긴급세제·보조금 패키지 15조원, 내수 부양책
 
핵심 차이점
1. 선제적 현지화 vs. 사후적 대응
일본 완성차는 이미 미국에 대규모 생산·R&D 거점을 두고 있어 공급망 조정 범위가 ‘부품’ 위주로 좁음.
한국 업체는 완성차·부품 모두 수출 의존도가 커 정부 차원의 재정·세제 지원이 필수.
 
2. 협회 중심 로비 vs. 정부 주도 협상
일본은 JAMA 주도로 업계 한목소리 → 美 로비 & 양자 협상 병행.
한국은 산업부-기재부가 직접 ‘관세 면제 패키지’를 들고 협상.

 

3. 가격 전략
일본업계: 초기 6-12 개월 가격 동결(브랜드 신뢰 유지) → 로컬 부품화 후 단계적 전가.
한국업계: 환율·보조금으로 단기 가격 방어, 관세 장기화 땐 가격 인상 불가피.
 
 
향후 관전 포인트
 
시점 체크 리스트
7 월 1 일~15 일 美 ITA 관세 Inclusion 1차 신청 창구 오픈 → 일본·한국 부품사 신청 품목·개수 확인
8 월~10 월 혼다 인디애나 설비 개조 착공, 닛산 테네시 CVT 증설 계획 승인 여부
연말 일본업계,  ‘가격 인상 폭’ 발표 예상(도요타·닛산 1~3 %, 혼다 미정)
2026년 상반기 양국 협상 결과(관세 완화/유예 여부) 및 한국 긴급 지원 프로그램 연장 여부
 
정리: 일본 완성차·부품사는 이미 높은 현지화를 기반으로 “관세 비용 흡수 → 부품 로컬화 가속” 순으로 대응하고, JAMA 주도로 ‘관세 철회’ 로비를 병행합니다. 반면 한국 업체는 현지 생산 비중이 낮아 정부 주도 재정·세제 지원과 생산지 이동이 동반돼야 하는 구조적 차이가 있습니다.

제목